카테고리 없음

강원특별자치도

둥스구름 2023. 6. 14. 11:55
반응형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영어: Gangwon State)는 대한민국의 북동부에 있는 특별자치도이다. 동쪽은 동해, 서쪽은 경기도, 남쪽은 충청북도·경상북도와 접하며, 북쪽은 북한 강원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강릉시, 속초시,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영동 지방과 서쪽으로 춘천시, 원주시  영서 지방으로 구분한다. 강원특별자치도청 춘천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릉시에 강원특별자치도청의 출장소 강원특별자치도환동해본부가 설치되어 있다. 행정 구역은 7 11이다.

 

대한민국의 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ko.wikipedia.org

 

역사

 1945년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강원도 § 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리

위치

 
강원특별자치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산 중 하나인 설악산

강원특별자치도의 총면적은 20,569 km2이며 이 가운데 휴전선 이남이 82%인 16,873.51 km2로, 총 면적중 81.7%인 13,783.68 km2 임야이며 농경지는 9.7%에 해당하는 1,625.22 km2이며, 기타는 8.6%인 1,457.49 km2로 구성되어 있다. 경지 면적은 밭 1,625.22 km2, 기타 1,457.49 km2이며, 농가 호당 면적은 1.48 ha이다.[1]

강원특별자치도는 위도상으로 북위 37도 02분에서 38도 37분에 걸치고,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도 05분에서 129도 22분에 걸쳐있다.[1] 북위 38도선은 본도의 거의 중앙부를 통과하고 휴전선 고성군 현내면 북위 38도 45분 근처에서 서남하하여 향로봉, 문등리 및 김화읍의 북방을 연결하는 북위 38도 20분선 부근에서 145km에 걸쳐 그어져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동서의 길이는 약 150km, 남북은 약 243km에 달한다.[1] 서쪽은 황해도 신계군·금천군, 경기도 연천·포천·가평·양평 등 여러 과 접해 있고 남쪽은 충청북도 충주시·제천시, 단양군  경상북도 영주시, 봉화군·울진군과 북쪽은 함경남도 안변군·덕원군  황해북도 곡산군과 접하여 5도 3시 13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지형[편집]

 
속초의 오징어잡이 배

강원특별자치도는 대다수의 지형이 산악이며, 그중 500m에서 1000m 사이의 중간 산야 지대가 43.4%로 전국에서 가장 비중이 높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는 한반도 중앙부의 동측에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영동과 영서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영동은 경사가 급하여 해안평야의 발달이 취약하고, 영서는 경사가 완만하여 남한강, 북한강 같은 대하천이 발달되어 있다.[1]

기후

강원특별자치도 지방은 북위 37°와 38°사이의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여름에 고온·다습하며, 겨울에는 한랭·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다. 또한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쳐 있기 때문에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의 기후 또한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1]

강원특별자치도의 연평균기온은 영동 11.0 °C, 영서 10.8 °C로 최저 6.6에서 최고 13.1 °C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의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은 철원에서 관측된 -29.2 °C와 홍천에서 41.0 °C를 기록하였다. 또한 연 강수량은 1300~1900mm로, 산간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강수량을 보이며, 이로 인해 대한민국의 다설지 중 하나이다.[17] 또한 봄철의 영동지방에서는 건조한 국지강풍이 빈번히 발생한다.[17]

행정 구역

강원특별자치도는 7개의 시와 1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군은 187개의 읍·면·동과 4203 통·리, 21,951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18] 여기에서는 주민 미거주 5개면과 그에 속한 29개 리, 면장 미실시 1개면과 그에 속한 4개 리중 3개의 리를 제외하고 있다.[18]

반응형